개발_자 2024. 9. 13. 19:37

인코딩 & 디코딩

산림청 api를 사용하려고 보니 인증키가 인코딩&디코딩 나눠져있었다.

 

인코딩

: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문자(언어)를 약속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 (0과 1)로 이루어진 코드로 바꾸는 것을 통틀어 일컫는다. 즉 인코딩이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코드화, 암호화, 부호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인코딩을 하는 이유는 정보의 형태 표준화, 보안,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해서이다.

디코딩

: 인코딩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복호화, 역코드화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저장 공간 호율화, 보안 등의 이유로 인코딩을 한 데이터를 다시 디코딩을 해서 사용할 수 있다.어떠한 특정 인코딩 방식으로 인코딩이 된 데이터를 동일한 방식으로 디코딩을 해주면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인코딩 - 디코딩 - 인코딩 - 디코딩 -... 이런 식으로 인코딩과 디코딩은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참고

https://codingpractices.tistory.com/entry/%EC%9D%B8%EC%BD%94%EB%94%A9-vs-%EB%94%94%EC%BD%94%EB%94%A9-%EC%A0%95%ED%99%95%ED%95%98%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인코딩 vs 디코딩 정확하게 이해하기

이번 개발 프로젝트를 하며 인코딩, 디코딩을 많이 접했다. 개발을 진행하면서 많이 답답했었다. 기본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어떤 인코딩인지 어떻게 디코딩을 해서 써야할지 코드를 겨우 찾아

codingpractices.tistory.com

 

 

 

산림청 api 활용하는 방법 찾으면서 본 사이트

https://james-choi88.tistory.com/55

 

[Python 실습 준비] 오픈API 활용하기(1) 오픈 API 요청키 생성

Kaggle Competition에 이어 이번에는 오픈 API를 이용한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오픈 API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정의 및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james-choi88.tistory.com

 

 

데이터를 불러오는 과정에서

CORS 문제와 관련있는 오류가 발생했다.

 

CORS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한 도메인에서 다른 도메인으로 요청을 보낼 때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정책이다.

localhost:5173에서 http://api.forest.go.kr로 요청을 보내려고 하는데, 이 API 서버가 요청에 대해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를 보내지 않아서 요청이 차단되었다.

 

해당 오류는 프록시 서버를 설정하여 API 요청을 우회할 수 있다고 했지만

 

 

XML을 JSON으로 변환하여 db.json에 데이터를 넣는 방식으로 방법을 바꿨다.

https://www.fronteer.kr/service/xml2json

 

XML2JSON : XML ⇔ JSON 변환 서비스

 

www.fronteer.kr

 

 

 

..프록시 서버 설정은 내 머리가 큰 다음 설명하기로